오늘은 국제연합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국제연합이라는 말 보다는 UN이라는 용어가
더욱 친숙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UN은 United Nations 의 앞을자를 따서 UN이라고
불리우는데, United Nations을 번역한 국제연합이라는
용어로도 표현되고 또 다른 표현으로는
연합국기구가 있다고 해요.

오늘은 이러한 국제연합 즉 유엔을 기념하기위한 날인
국제연합일, 유엔의 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연합일 이란?
국제연합일은 10월 24일로 지정하여 기념되고 있는데요
이는 1945년 10월 24일에 유엔이 창설되었기 때문입니다. 일종의 창립기념일 같은 의미가 될수 있을것 같네요 :)
그렇다면 해당일에 유엔은 어떠한 일로 창설이 되었을까요?
유엔이 창설된 이유 및 목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평화를 유지하고 각 나라 사이의 우호를 다지며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인도적 문제에 대해
서로 협력하기 위해 창설되었다고 해요.
1945년 6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연합국 회의에서
옛 국제 연맹의 정신을 계승하는 헌장이 조인되고
같은 해 10월 24일에 유엔이 창설되었다고 합니다!
유엔은 총 6개의 산하 기구를 두고 있는데
총회·안전보장이사회·경제사회이사회·신탁통치이사회
국제사법재판소·사무국 이렇게 구성되어있다고 해요
또한 국제노동기구(ILO)·세계보건기구(WHO)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국제통화기금(IMF)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16개의 전문 기구가 있으며
이러한 유엔의 본부는 미국 뉴욕에 위치해 있다고 해요
재밌는 점은 북한과 한국이 같은 날 유엔에 가입했다는
부분인데요 1991년 9월 18일 제46차 유엔 총회에서
북한과 한국은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였다고 해요
한국에서는 유엔의 날을 유엔의 창설을 기념하는 것 보단
6·25전쟁에 유엔군이 참전한 것에 대한 기념의 의미가
더욱 큰데요. 이에 1950년 9월에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었으나 1976년 9월 공휴일에서는 제외되고
법정기념일로 남았다고 해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도 국제연합일에는
국제연합 창립과 한국동란 중 국제연합군이 참전한 뜻을
기념하는 행사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고 하네요 :)
그렇기 때문에 국제연합일에 한국에서는
유엔한국협회에서 오찬회 또는 만찬회를 연다고 해요.
기념행사에는 유엔협회 회원, 국내외 국제기구 대표
주한외교단, 외교관계 인사와 유관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유엔과 한국에 대한 외교장관의
특별정책연설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앞서 이야기 드린 것처럼 한국에서는 유엔의날을
6·25전쟁에 유엔군이 참전한 것에 대한 기념하는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하였는데요. 이를 기념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남구에는 유엔기념공원이 있다고 해요
이는 1951년 유엔군사령부가 조성한 것으로
유엔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유엔 묘지라고 합니다.
부산에 있는 유엔기념공원에서는 매년
기념 행사로 헌화식도 열린다고 하네요
여기까지 유엔의날이라고도 불리우는
국제연합일에 대해 이야기 해 보았는데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잠시만이라도 6·25전쟁에
참전하여 주셨던 유엔군분들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전해보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