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위해 주식에 있는 여러 개념들을 공부해 보신 분들이라면 PER 이라는 용어가 낯설지는 않으실겁니다. 그러나 저처럼 주식투자에 대해 아직 걸음마 단계이신 분들의 경우 PER이라는 용어가 낯설기 마련일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PER이라는 용어가 낯선 저 같은 분들을 위해 PER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PER이란?
PER은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그대로 직역한다면 "가격수입비율" 이라는 의미입니다. 직역 그대로 주가가 주는 수익율에 대해서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국내에서는 주가수익률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지표는 어떻게 산정하게 될까요? 주가수익율은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인데요. 예를 들자면 1,000원 짜리 기업이 주당 100원의 순이익을 거뒀다면 PER은 10배가 되게 됩니다. 아래 계산식을 통해 다시한번 PER 계산법에 대해서 확인해 보시죠
PER에 대한 설명들을 보면, PER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된 종목으로, 높을경우 고평가된 종목으로 간주되어 가치투자의 경우에서 PER이 낮은 종목을 찾아 매수하여 보유하는 방법이 자주 언급이 되곤 합니다. 이때 통상적으로 PER 수치를 10을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낮으면 저평가로 매수를 권유하고, 10이 넘어가면 고평가로 매도를 권합니다. 하지만 PER이 높은 종목의 경우, 현재의 이익보다 미래의 성장성이 좋아 주가가 높게 형성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이 높은 이익을 꼭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의견도 분분합니다. 특히 이러한 부분은 성장이 빠른 업종에서 수익성보다 매출 성장이 중시되는 상황에서는 이익보다 매출이 더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유용한 지표가 되지 못합니다.
이러한 상황들을 정리해보면 PER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는 "주식의 매수,매도 시점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로써 현재 시장의 기대감"정도로 정리해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PER이 높아지는것은 수입비율이 높아진 만큼 시장에서 해당 주식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즉 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주식이라는 이야기와 일맥상통하며 그렇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보다는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주목해야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PER이 무지막지하게 높은 수치이더라도 해당 기업이 매년 고성장의 기대를 받고 있는 상태라면 훗날 해당 주가는 아주 저렴했던 순간 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PER이 낮다고하여 그 반대의 상황은 아니지만요. 항상 시장상황 및 기업의 상황은 변화가 있을수 있고 갑작스러운 이슈들에 의해 고성장의 주목을 받을수도 있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PER은 그 자체만으로가 아닌 그와 더불어 해당 기업 및 기업에서 하는 비지니스의 가치들을 같이 고려할때 더욱 가치있는 투자지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PER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았는데요,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모두들 즐거운 하루되시구요~ 오늘 이야기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시간 및 주식시장시간에 따른 주식 거래방법 알아보기 (0) | 2020.07.27 |
---|---|
공매도란 무엇일까요? (0) | 2020.06.05 |
ETF란 무엇일까요? (0) | 2020.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