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태어나면서 언제방문해서 출생신고를 해야하나 고민을 했었는데, 병원에서 "온라인 출생신고"가 있다고 안내를 해 주어서 저 처럼 온라인 출생신고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오늘은 온라인 출생신고에 필요한 준비물(?)과 신고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 합니다.
온라인 출생신고는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에서 출산을 했을때만 가능하기 때문에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 확인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병원 확인방법
첫째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접속을 합니다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클릭!
둘째 인터넷신고→출생신고를 클릭합니다
셋째 내가사는지역을 선택하고 조회를 하면됩니다
온라인 출생신고가 가능한 병원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온라인 출생신고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온라인 출생신고가 가능한 병원인 경우 해당 병원에서 출생증명정보 전송동의가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온라인 출생신고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온라인 출생신고 방법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 출생신고 방법
1.출산병원에서 출생증명정보 전송동의가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2.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접속합니다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클릭! (위에서 이야기 드린 것 처럼 Mac, Linux 운영체제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ㅜㅜ)
3.인터넷신고→출생신고 메뉴 클릭을 합니다
4.이용약관및 개인정보 처리방침 동의합니다
5.온라인 출생신소 참여병원중 출산한 병원을 선택합니다
6.출생신고서를 작성합니다
7.출생증명서 첨부
8.출생신소 작성내역 확인후 제출을 합니다
추가로 아이의 주민등록번호가 부여된 뒤에 양육수당, 출산가구 공공요금 감면 등의 지원들을 ‘정부24'를 통해 출산 관련 서비스를 통합 신청하는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도 온라인 신청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니 참고해 주세요! (아래 링크 남겨두었습니다 ^^)
여기까지 온라인 출생신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출산 후 경황이 없어 1개월 이내 출생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최대 5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니 꼭!!! 1개월 이내에 온라인 또는 방문으로 출생신고 하시구요. 새롭게 태어난 아가들이 항상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네요~ 대한민국 모든 엄마아빠들 화이팅 이에요! :)
'알쓴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심할때 풀어보는 가로세로 퀴즈 (1) | 2020.05.07 |
---|---|
어버이날의 유래 및 부모님들이 어버이날 받고 싶어하시는 선물에 대해 알아봐요 (0) | 2020.04.30 |
열이 난다고 무조건 코로나를 의심해 봐야 될까요? (0) | 2020.04.29 |
댓글